“버리는 것이 바로 도 닦는 것”
해우소라는 명칭을 사용한 것은 언제부터 일까?
사찰 화장실에 해우소라는 이름을 붙인 인물은 경봉스님(1892~1982)으로 알려져 있다.
한국전쟁이 끝난지 얼마 안 된 때의 일이다.
당시 통도사 극락암 호국선 원조실로 있던 경봉스님은
두 개의 나무토막에 붓으로 글자를 써서 시자에게 내밀었다.
하나는 해우소(解憂所)라고 쓰여 있었고,
다른 나무토막에는 휴급소(休急所)라고 적혀 있었다.
경봉스님은 두 나무토막을 각각 큰 일을 치르는 곳과 소변을 보는 곳에 걸라고 명했다.
해우소는 근심을 해결하는 곳,
휴급소는 급한 것을 쉬어가는 곳이라는 의미다.
이후 극락선원을 찾는 수좌와 신도들은 문패를 보고 설왕설래 말이 많자
경봉스님은 어느 날 법문을 통해 참뜻을 전달했다.
“우리 극락선원 정랑에 갔다가 사람들이 해우소, 휴급소라는 팻말을 보면 고개를 갸웃거려.
그리고 저마다 한 소리를 해.
이 세상에서 가장 급한 것이 무엇이냐?
자기 자신이 누구인지를 찾는 일이야.
그런데도 중생들은 화급한 일은 잊어버리고, 바쁘지 않은 것은 바쁘다고 해.
내가 소변보는 곳을 휴급소라고 한 것은 쓸데없이 바쁜 마음 그 곳에서 쉬어가라는 뜻이야.
그럼 해우소는 무슨 뜻이냐?
뱃속에 쓸데없는 것이 들어 있으면 속이 답답하고 근심 걱정이 생기지.
그것을 다 버리는 거야.
휴급소에 가서 급한 마음을 쉬어가고,
해우소에서 근심 걱정 버리고 가면 그것이 바로 도(道) 닦는 거야.”
휴급소는 잊혀졌지만 해우소라는 명칭은 지금도 사찰 뿐 아니라 일반에서도 많이 사용하고 있다.
'LIFE > 조은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정호승] 봄비 (0) | 2021.08.19 |
---|---|
[ 조은글 5210호 - 누구나 한 가지의 특별한 재능을 가지고 있다 ] (0) | 2021.08.12 |
[ 조은글 5207호 - 고흐와 배려 ] (0) | 2021.08.10 |
[ 조은글 5206호 - 디즈니의 철학 ] (0) | 2021.08.09 |
[ 조은글 5205호 - 108번뇌의 의미를 아시나요 ] (0) | 2021.08.06 |
댓글